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비유5

백합화(Lily) 아네모네( Anemone) [성경의 식물] 백합화(Lily) 아네모네( Anemone) 1. 개요 아네모네(Anemone)는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한 속에 속하는 식물이다. 학 명 Anemonastrum 계 식물 문 속씨식물 강 쌍떡잎식물 목 미나리아재비목 원산지 지중해 연악 아네모네 꽃말 배신, 속절 없는 사랑, 기대, 기다림, 사랑의 괴로움, 허무한 사랑, 이룰 수 없는 사랑, 사랑의 쓴맛 알뿌리에서 7-8개의 꽃줄기가 자라서 끝에 꽃이 1개씩 달린다. 4-5월에 7cm 정도의 꽃을 피운다. 홑꽃도 있고 겹꽃도 있다. 색도 매우 다양하여 빨강, 흰색, 분홍, 하늘색, 노랑, 자주색 들이 있다. 약 90종이 된다고 한다. 성경에 소개되는 백합화인 코로나리아는 지중해 연안이 원산이며 햇빛이 잘 듣고 바람이 적절.. 성경의세계/성경의식물 2021. 4. 3.
마태복음 13장 일곱가지 천국비유 마태복음 13장 일곱 가지 천국 비유 마태복음 13장에는 7가지 천국 비유가 소개된다. 예수님은 7가지 비유를 통해 하나님의 나라를 설명하신다. 가장 길고 자세한 것은 씨 뿌리는 비유이며, 그다음은 가라지의 비유이다. 두 가지 비유는 열매와 상관이 있다. 7가지의 비유는 놀랍도록 정교하게 하나님의 나라가 어떤 곳이며, 얻기 위해 어떤 대가를 지불하며, 종말에는 어떤 일어 벌어지는 가를 설명한다. 1. 씨 뿌리는 비유 마태복음 13:1~9, 13:18~23 씨 뿌리는 비유는 네 가지 밭의 비유로 더 잘 알려진 비유이다. 엄밀하게 말하면 네 가지 밭이 아니다. 밭은 하나이고, 다른 세 곳은 씨 자랄 수 없는 장소들이다. 씨 뿌려진 네 곳은 길 가, 흙이 얕은 돌밭, 가시떨기, 좋은 땅이다. 이 비유의 목적은.. BIble Note/마태복음 2021. 2. 20.
네 밭의 비유, 깨닫는 자, 마 13:10-23 네 밭의 비유(깨닫는 자) 마 13:10-23 1.개요 마태복음 13장은 7가지 비유로 되어 있습니다. ① 네 밭의 비유(1-23절) ② 가라지의 비유(24-30절, 36-43절) ③ 겨자씨 비유(31-32절) ④ 누룩비유(33절) ⑤ 감추인 보화 비유 ⑥ 진주장사 비유(45-46절) ⑦ 그물 비유(47-50절) 비유의 특징을 보면 확연히 초반부와 후반부의 비유가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초반부 비유인 네 밭, 가라지, 겨자씨, 누룩 비유는 성장과 관련이 있습니다. 나머지 감추인 보호와 진주장사, 그리고 그물 비유는 가치의 전환과 종말론적 심판이 담겨 있습니다. 마태복음의 전체 주제이기도하고, 13장의 비유의 전제이기도한 주제는 ‘하나님의 나라’입니다. 하나님의 나라가 어떻게 우리 가운데 임하.. 설 교 2020. 11. 25.
10월 둘째주 기독교 주목신간-일상에서 만난 하나님 10월 둘째주 기독교 주목신간일상에서 만난 하나님 가을이 풋풋하게 익어가는 10월의 중순 정확하게 15일입니다. 낮이면 아직도 여름인 듯 착각을 일으키나 밤이 찾아오면 차가운 냉기가 스멀스멀 가슴을 파고드는 기묘한 날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근래에 출간된 기독교 서적을 추려 보았다. 1. 신은 낙원에 머물지 않는다 / 박총, 안병률 옮김 / 북인더갭 미국의 여성신학자인 엘리자베스 A. 존슨이 썼다. 교리적 탐구가 아닌 현실 속에서 마주친 삶의 정황으로서의 신학이다. 배교와 세속화, 다원화되고 개인주의의 이데올로기에 함몰된 지금 여기의 삶에서 여전히 함께하시는 하나님을 발견하려는 몸부림이다. 가부장적 신이해에 갇힌 정통 신관에 반하는 어머니요 흑인 하나님이 등장한다. 아직 책을 읽어보지 않고 풍문으로만 들은.. Book/신간소개 2013. 10. 15.
주일오후설교 일상의 은혜 막4:1-12 주일오후설교 일상의 은혜막4:1-12 인간은 어떻게 해서 알게 되는가? 수천 년 동안 사람들이 가장 힘써온 것 중의 하나는 교육에 관한 것입니다. 크게 두 가지의 방법을 추구했습니다. 그것은 인간이 어떤 존재인가라는 인간론에 따라 달라집니다. 소위 말하는 성선설(性善說)과 성악설(性惡說)이 그것입니다. 성선설은 인간이 태어날 때 악하게 태어난 생각합니다. 즉 인간의 본성 자체는 악이며 쉽게 악을 저지른다고 생각합니다. 인간을 악한 존재로 규정하게 되면, 인간을 교육할 때 외부로부터의 선(善)을 주입하게 되고, 내면의 악을 억제하는 쪽으로 기울어지게 됩니다. 인간을 악으로 규정하면 강제적이고 물리적인 방법을 사용합니다. 매를 때린 다거나 벌을 주는 방식으로 악을 억제하고, 강제로 선을 주입하여 착하게 교정.. 설 교 2013. 10. 1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