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 사이트추가>
빙 사이트추가>
구글 자동광고시작>
구글 자동광고 끝>
네이버서치어드바이저>
구글 최적화 시작>
구글 최적화 끝>
구글 애널추적코드 2 시작>
구글 애널추적코드 2 끝>
구글 태그관리자 시작>
구글 태그관리자 끝>
구글 애센 광고차단 해제>
구글 애센 광고차단 해제>
데이블 수집 로그>
네이버 애널코드>
대림절(待臨節)은 크리스마스 4주 전 일요일부터 시작하면 성탄 하루전인 12월 24일까지이 4주간 이어지는 교회 절기다. 대림절은 대강절로 부르기도 한다.
대림절은 오다의 뜻을가진 라틴어 Adventus에서 왔다. 교회력은 대림절로 시작하기 때문에 비록 한해 전이지만 새로운 시작으로 받는다. 라티어 아드벤투스는 나타남과 도착을 뜻하는 헬라어 ‘에피파네이아’(ἐπιφάνεια) ‘파루시아’(Παρουσία)를 번역할 것이다. 대림절에 사용하는 예전색은 보라색이다.
대림절의 기원
그렇다면 대림절은 도대체 언제 어떻게 시작된 것일까?
초기 기독교 전례를 담은 갈리아 지방의 전례(교회력)에 의하면 3세경부터 1월 6일을 성탄으로 지냈으며, 6세기중반부터는 6주간을 대림절로 지냈다.
로마지역에서 내려오는 전례는 약간 다르다. 로마는 3세기부터 태양신 축일인 12월 25일을 교회에서는 성탄으로 지냈다. 이후 성탄을 준비하는 기간을 만들면서 대림시기가 정해졌다. 아직 명확한 기록을 비교하기 모호하나 성탄을 지키는 행사는 3세기 이전부터 있었지만 날짜에 대한 합의도, 방식도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다 5세기 이후 공의회를 통해 성탄절이 12월 25일로 정해지고 대림절도 성탄 4주 전으로 합의를 본 것으로 보인다. 그렇기 때문에 대림절을 로마의 태양신 숭배를 바꾼 것 뿐이라는 주장은 교회사의 무지에서 나온 발상이다.
4 Solus Christus or Solo Christo ("Christ alone" or "through Christ alone")
5 Soli Deo gloria ("glory to God alone")
루터에 의해 촉발된 종교개혁은 다섯 가지의 솔라를 표방한다.
오직 성경으로
오직 믿음으로
오직 은혜로
오직 그리스도
오직 하나님께 영광을
시대의 변화에 따라 근본주의적 색체가 더 강해진 다섯 가지 솔라는 종교개혁 당시에는 혁명적 용어였다. '오직'의 뜻을 담은 Sola는 다른 어떤 것도 용납하지 않으려는 배타적 갈망이 아니다. 사제와 교황에 의해 왜곡되고 빼앗긴 성경을 모든 교인들에게 되돌리려는 혁명 문구다.
오직 성경으로( Sola scriptur)
솔라 스크립투라는 사제들의 중보가 아닌 성경 만으로 구원에 이를 수 있음을 표방한다. 사제의 의해 성경을 읽고 해석하지 않고 성령의 가르치심으로 구원에 이르는 지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교회의 전통이나 교황의 권위보다 하나님의 기록된 말씀인 성경의 권위가 최고이다. 성경 위에 그 어떤 권위도 올릴 수 없고, 올려도 안된다. 그리스도인은 삶의 기준, 삶의 방식이 전통이나 인습에 의해 결정되지 않고 성경에 기록된 대로 결정된다. 성경에 의존하지 않는 삶을 자칫 우상숭배가 될 것이다.
오직 믿음으로(Sola fide)
솔라 피데는 행위가 아닌 하나님께서 행하신 구원사역을 믿는 것만으로 구원에 이른다. 루터는 중세 교회가 전통적으로 여겨왔던 행위 구원에 도전한다. 그가 주창한 이신칭의 또는 이신득의는 오직 믿음으로만 의롭게 됨을 표방한다. 구원은 전적으로 하나님께 속한 것이며, 하나님의 선물인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외에는 그 어떤 것도 의롭게 할 수 없음을 말한다. 구원(의롭게 됨)은 오직 예수 그리스도의 공로를 믿는 '믿음으로만' 가능하다.
오직 은혜로(Sola gratia)
솔라 그라티아는 오직 하나님의 은혜로만 구원한다. 오직 은혜라는말은 인간의 그 어떤 행위나 사상도 들어갈 수 없다. 오직을 절대적 의미이며, 하나님의 은혜만이 구원에 이를 수 있음을 말한다. 믿음이 인간에게 주도적 느낌이 있다면, 은혜는 하나님께로부터 오는 것이다.
오직 그리스도(Solus Christus or Solo Christo)
오직 그리스도는 구원 사역은 그리스도만으로 충분하다. 기독교의 핵심은 그리스도를 통한 대속사역을 통해 완성된다. 그 무엇도 더해지거나 추가할 필요가 없다. 그리스도께서 홀로 행하신 구속 사역을 통해 구원의 모든 길이 완성된다.
오직 하나님께 영광(Soli Deo gloria)
오직 하나님께 영광을 구원 사역은 하나님께서 시작하시고 마친다. 하나님은 알파와 오메가다. 그러므로 모든 영광은 하나님께 돌려야 한다.
속사도로부터 대그레고리 감독까지 초대교회에 속한 초대교회 교부들의 문헌 목록입니다. 한글로 번역이 된 서적을 중심으로 정리했습니다. 교회사적으로 그다지 중요하지 않는 문헌은 누락될 수도 있습니다. 필자의 자의의 판단에 의해 정해진 것입니다.
서평이나 소개들이 완료된 글은 제목을 파란색으로 바꾸며 링크를 걸었습니다. 한국교회 내에서 교부 문헌은 분도출판사 외에는 희소하게 번역 되기 때문에 전문성이나 양이 현저히 낮은 상태입니다. 교부 문헌에 관심이 있는 분들에게 간략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만든 것입니다. 초대교회 교부목록과 영어 목록은 하단 링크에서 확인 바랍니다.
아우구스티누스, 초대교회 교부 사상을 정리한 신학의 저수지 역할을 감당했다.
초대교회 교부 문헌을 읽는 네 가지 주제는 '핍박' '이단' '성경' '전통(교직)'입니다.
출생 1923,09,02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 컬럼비아 사망 2007,06,23 미국 코네티켓 뉴헤이븐 B.A., M.A. 미시간 대학교(University of Michigan) (1947) B.D. 프린스턴 신학교(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 (1950) Th.D. 바젤 대학교(University of Basel) (1955) 구약성경신학 전공
세계적인 구약학자이다. 예일 대학교에서 구약학 교수로 보낸다. 20세기 성경신학자 중 가장 영향력있는 인물이다.
차일즈는 특별히 성경해석의 한 방법으로 정경비평의 선구자로 유명하다. 이 해석은 성경의 최종본으로서 정경 그 자체의 본문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사실 차일즈는 이 용어를 좋아하지 않았지만 역사비평 방법을 대체한 이 정경비평은 전혀 새로운 출발점으로 표현하기 위한 자기의 연구를 말한다. 차일즈는 <위기에 처한 성서 신학> (Biblical Theology in Crisis , 1970)에서 정경적 접근법을 착수하고 그것을 <성경으로서 구약성경의 입문>(Introduction to the Old Testament as Scripture, 1979)에서 적용했다. 이 후자의 책은 "1980년대 가장 많이 논의된 책들 중 하나"로 말하여진다.
출간도서
[이스라엘에 있어서 기억과 전통] 이컴비즈넷 2005-09-12
[구약 신학] CH북스 1992-11-01
[구약 정경개론[] 김갑동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1987-06-30
Introduction to the Old Testament as Scripture
1955년에서 2006년까지 쓴 책
Childs, Brevard S. (1960). 《Myth and Reality in the Old Testament》. Studies in Biblical Theology 27. Naperville, IL: A. R. Allenson. OCLC 356551. ——— (1962). 《Memory and Tradition in Israel》. Studies in Biblical Theology 37. Naperville, IL: A. R. Allenson. OCLC 356542. ——— (1967). 《Isaiah and the Assyrian Crisis》. Studies in Biblical Theology - 2nd series 3. London: SCM Press. OCLC 356534. ——— (1970). 《Biblical Theology in Crisis》. Philadelphia, PA: The Westminster Press. ISBN 978-0-6642-0882-0. OCLC 66673. ——— (1974). 《The Book of Exodus: A Critical, Theological Commentary》. Old Testament Library. Philadelphia, PA: The Westminster Press. ISBN 978-0-6642-0985-8. OCLC 800708. ——— (1977). 《Old Testament Books for Pastor and Teacher》. Philadelphia, PA: The Westminster Press. ISBN 978-0-6642-4120-9. OCLC 2694982. ——— (1979). 《Introduction to the Old Testament as Scripture》. Philadelphia, PA: Fortress Press. ISBN 978-0-800-60532-2. OCLC 4495768. ——— (1984). 《The New Testament as Canon: An Introduction》. Philadelphia, PA: Fortress Press. ISBN 978-0-800-60739-5. OCLC 11234811. ——— (1985). 《Old Testament Theology in a Canonical Context》. Philadelphia, PA: Fortress Press. ISBN 978-0-800-60772-2. OCLC 12666442. ——— (1992). 《Biblical Theology of the Old and New Testaments: Theological Reflection on the Christian Bible》. Minneapolis, MN: Fortress Press. ISBN 978-0-800-62675-4. OCLC 26673846. ——— (2001). 《Isaiah: A Commentary》. Old Testament Library. Louisville, KY: Westminster, John Knox Press. ISBN 978-0-6642-2143-0. OCLC 43648635. ——— (2002). 《Biblical Theology: A Proposal》. Facets (Fortress Press. Minneapolis, MN: Fortress Press. ISBN 978-0-800-63481-0. OCLC 49346420. ——— (2004). 《The Struggle to Understand Isaiah as Christian Scripture》. Grand Rapids, MI: Eerdmans. ISBN 978-0-802-82761-6. OCLC 55109109. ——— (2008). 《The Church's Guide for Reading Paul: The Canonical Shaping of the Pauline Corpus》. Grand Rapids, MI: Eerdmans. ISBN 9780802862785. OCLC 213452265.
그는 아메리카노를 즐겨 마셨다. 커피가 무엇인지도 모르는 사람이 더 많았던 시절. 시인은 시대의 아픔을 커피와 시로 달랬다. 그 시인의 이름은 '김현승'이다.
평양에서 태어나 열 살이 되던 1922년, 목사인 아버지를 따라 광주로 내려왔다. 미국 장로교 선교사의 전도를 통해 기독교인이 되고 목사가 된 김창남은 고향이 전주였다. 1897년 레이놀즈 선교사가 전주에서 5명에게 세례를 베풀었는데 그중 한 명이 김현승의 아버지 김창남이었다. 김창국은 전주 서문교회 첫 신자였고, 교회의 기둥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전주 신흥학교와 숭실학교를 거쳐 평양장로회신학교 8회 졸업생이 되었다.
전주 삼례교회를 섬기다 1917년 제주 교회 선교사로 파송된다. 당시 제주도는 해외로 취급되었다. 그러다 1922년 김창국은 광주 금정 교회 담임으로 청빙 된다. 그때 김현승도 아버지를 따라 함께 광주에 머물게 된다. 1924년 10월 15일 금정 교회를 분립하여 새로운 교회를 설립한다. 현재의 양림교회의 시작이었다. 시대는 어두웠다. 일제는 신사 참배를 강요했다. 김창국은 신사 참배를 거부했다. 온 가족이 고초를 겪어야 했다. 1937년 결국 김현승을 직장을 잃었고, 딸이 목숨을 잃는다. 어머니 양응도 여사도 결국 충격으로 하나님의 품에 안긴다. 마흔이 되던 김현승은 펜을 들고 아팠던 시절을 되새기며 가을의 기도를 드린다.
가을의 기도
-김현승
가을에는 기도하게 하소서……. 낙엽(落葉)들이 지는 때를 기다려 내게 주신 겸허(謙虛)한 모국어(母國語)로 나를 채우소서. 가을에는 사랑하게 하소서……. 오직 한 사람을 택하게 하소서. 가장 아름다운 열매를 위하여 이 비옥(肥沃)한 시간(時間)을 가꾸게 하소서. 가을에는 호올로 있게 하소서……. 나의 영혼, 굽이치는 바다와 마른 나뭇가지 위에 다다른 까마귀 같이
이미 가을에 닿아 있습니다. 하나님의 성실하심은 계절의 변화로 인생의 본질을 상기 시킵니다. 가을은 소모적 관계를 벗어나 고독한 존재로 홀로 서야 할 시간입니다. 화려한 세속의 수사학을 버리고 순수한 모국어로 주님 앞에 나아가야 할 때입니다.
하나님께 가까이 갈수록 인간은 고독해지고, 절대자 앞에서 고독해 질수록 존재는 풍성해집니다. 단단한 결심과 순수한 의지만이 '나'로 돌아가게 합니다. 조낙의 섭리를 통해 종말론적 삶을 각성시키시는 하나님을 기억한 한 주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가을과 낙엽은 한 해가 저물어 가고 있음을 말합니다. 가을은 다시 '호올로'와 만나고, 굽이치는 바다와 마른 나뭇가지와 연결됩니다. 고독한 시간을 홀로 버텨야 하는 인내의 시간입니다.
가을, 낙엽, 고독, 호올로... 가을은 화려했던 봄과 여름이 지나고 모든 것이 벗겨지는 시간입니다. 조락을 통해 활엽수는 벗은 몸으로 홀로 섭니다. 그 고독의 시간, 김현승은 '가장 아름다운 열매를 위하여 이 비옥한 시간을 가꾸게 하소서'라고 노래합니다. 모든 것이 사라졌기에 홀로 남겨졌기에 가식이 필요 없기에 가장 비옥한 시간으로 가꿀 수 있습니다. 바로 기도로 말이죠.
기도의 시간은 굽이치는 바다를 건너야하는 것 같고, 마른 나무가지 위에 다다른 까마위처럼 고독한 자기와의 싸움입니다. 겸허하게 자신을 돌아보아야할 때인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