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Pensées19

창조에 관한 묵상 창조의 깊은 묵상: 진리를 찾아가는 신자의 독백하나님, 오늘도 당신의 창조의 깊이를 묵상하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태초에 당신이 세상을 창조하시며 “빛이 있으라”라고 말씀하신 그 순간을 떠올립니다. 이 말씀은 단순한 물리적 빛의 창조가 아닙니다. 그것은 영적 진리를 드러내며, 모든 존재의 시작과 목적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요한복음 1장 5절에서 “빛이 어둠에 비치되 어둠이 이기지 못하더라”는 구절은 저에게 당신의 영광이 세상의 혼돈을 이긴다는 깊은 진리를 상기시킵니다. 창조의 목적과 의미하나님, 당신은 만물을 창조하시고 그것에 질서를 부여하셨습니다. 이사야 43장 7절의 말씀처럼, 우리는 당신의 영광을 드러내기 위해 존재합니다. 하지만 이 창조의 의미는 다른 종교에서도 다르게 해석됩니다. 불교는 존재의 무.. Pensées 2024. 9. 24.
[팡세] 박해 받는 그리스도인 [팡세] 박해받는 그리스도인 그때는 심판의 때다. 숨겨진 것들이 드러나고, 분명하지 않은 것들이 명확해질 것이다. 622(748) 메사의 때에, 이 백성은 갈라진다. 영적인 사람들은 메시아를 받아들였고, 육적인 사람들은 그대로 머물러 메시아의 증인이 되었다. 그러므로 예수는 가족을 원수로 만든다. 거짓된 평화는 깨지고 전쟁이 시작된다. 기독교가 들어가면 언제나 전쟁이 일어났다. 빛은 모호한 모든 것을 명징하게 드러낸다. 패가 나뉘고, 한 마음이 여러 마음이 된다. 숨겨진 탐욕이 드러나고, 안이한 생각들이 깨진다. 전쟁이 시작된다. 하늘의 빛을 본 사람은 땅의 어둠속을 사는 사람들에게 미움을 받는다. 이해받지 못한다. 그들은 빛의 아들들이 땅의 어둠과 한패가 아님을 안다. 불을 꺼야 한다. 그래서 예수님은.. Pensées 2020. 5. 18.
[팡세] 인간은 본래(omne aninal)이다. [팡세] 인간은 본래(omne aninal)이다. 166(94,2)인간은 본래(omne aninal)이다. 나는 누구일까? 이 질문을 단 한 번도 하지 않는 사람이 있을까? 인간은 존재론적이기 때문에 자신이 누군가를 끊임없이 묻는다. 생각으로, 삶으로, 행위로, 마음으로, 관계로 묻고 또 묻는다. 나의 외모가 나일까? 아니다.나의 권력이 나일까? 아니다.나의 기억력이 나일까? 아니다.파스칼은 이러한 것들은 사라질 것들이기 '나-존재'가 아니라고 답한다. 존재를 사랑하지 않고 특성을 사랑하는 것은 사랑이 아니다. 파스칼을 말한다.그러므로 인간은 그 누구를 사랑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특성만을 사랑한다.[167(323)]그렇다고 그러한 특성 또는 지위나 직책으로 인해 존경받는 사람들을 경멸해서는 안 된다고 말.. Pensées 2020. 5. 3.
[팡세] 782 십자가에 달리신 하나님 [팡세] 782 십자가에 달리신 하나님 십자가에 달리신 하나님 이 말은 타락한 예수회를 공격한 말이다. 그들은 하나님을 십자가에 못 박았다. 보이지 않는 하나님을 보이는 형상으로 만들어 십자가에 달았다. 몰트만은 개념적으로 하나님을 십자가에 못 박았다. 하나님은 십자가에 못 박혀 고통을 당했고, 죽음을 맞이한다. 죽을 수 없는 신의 죽음. 그것은 십자가이다. 예수회는 죽을 수 없는 하나님을 형상으로 만들었고, 십자가를 위에 달았다. 실로 하나님은 십자가에 달렸다.예수회는 보이는 하나님을 십자가에 달았지만, 루터는 십자가 뒤에 하나님께서 숨으셨다고 말했다. 십자가를 통해 하나님을 보고, 하나님을 만난다. 십자가는 하나님께로 가는 길이다. 루터는 맞고 예수회를 틀렸다. 몰트만은 루터의 십자가에서 고통당하시는.. Pensées 2020. 4. 29.
[팡세] 540 보이는 신과 보이지 않는 신 [팡세] 540 보이는 신과 보이지 않는 신애굽 사람들은 우상 숭배와 마법에 더렵혀졌다. 신의 백성까지도 이에 이끌려 그들을 모방하였다. 그러나 모세와 다른 몇몇 사람들은 보이지 않는 신을 믿었고, 신이 그들을 위해 예비한 영원한 선물을 바라보며 신을 섬겼다.보이지 않는 신은 없다. 그래서 소크라테스는 독배를 마셔야 한다. 그는 무신론자, 즉 신을 믿지 않는다는 이유로 처형 당했다. 초대교회의 그리스도인들도 무신론자라는 이유로 처형 당했다. 왜냐하면 그들은 보이지 않는 신을 믿었기 때문이다. 보이지 않는 신은 없다. 모세의 혁명성은 기존의 신관을 완전히 전복시키는 데 있다. 모세는 신은 보이지 않으며, 보이지 않느 ㄴ신을 보이게 해서는 안 된다고 못 박았다. 오직 신은 유일하며, 그 신을 보이는 형상으로.. Pensées 2020. 4. 29.
[팡세] 358 이성에 복종된 기독교 [팡세] 358 이성에 복종된 기독교 만약 모든 것을 이성에 복종시킨다면 우리의 종교를 아무런 신비로운 것도 초자연적인 것도 없을 것이다. 어거스틴은 "이해하기 위하여 믿는다."고 했다. 중세의 부정신학자 안셀무스 역시 동일한 맥락에서 그렇게 말했다. 하지만 믿는다고 이해가 될까? 믿음이 하나님을 온전히 이해하도록 할까? 난 반댈세. 그건 불가능 하다고. 차라리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믿는 것이라네.이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면 차라리 믿지 않겠어. 만약 믿음으로 하나님의 모든 일을 알고, 이해한다면 얼마나 사는 게 재미가 없을까. 난 그짓은 못하겠다. 믿음이란 말이지. 이해하기 위함이 아니라 이해할 수 없어도 믿는 것이 믿음이지. 나에게 오는 불행 안 몰라. 이해가 안 돼! 세상이 갑자기 위기에 닥치는 것.. Pensées 2020. 4. 27.
[팡세] 333 하나님만이 진정한 선이다. [팡세] 333 하나님만이 진정한 선이다.신만이 인간의 진정한 선이다. 그러나 인간이 신을 떠난 후로 기묘하게도 자연 속의 그 어떤 것도 신을 대신하지 못하는 것이 없다. 별, 하늘, 땅, 원소, 식물, 배추, 짐승, 곤충, 송아지, 뱀, 열병, 흑사병, 전쟁, 기근, 악덕, 간음, 불륜 등. 그리고 인간이 참된 선을 상실한 후로 모든 것이 똑같이 선으로 보일 ㅅ 있는 것이다. 심지어 자살까지도, 신과 이성과 자연 모두에 그토록 거역하는 것인데도 말이다.팡세는 미완성의 작품이다. 아니 처음부터 완성시키려하지 않았는지 모르겠다. 그 누구도 추종을 불허했던 파스칼은 이번엔 오직 하나님만이 진정한 선이라고 선언한다.선은 한국사람들이 아는 착함이 아니다. 그것은 절대이다. 인간은 타락한 후 하나님의 공간에 다른.. Pensées 2020. 4. 27.
[팡세] 121-153.154 인간은 짐승이면서 천사다 [팡세] 121-153.154 인간은 짐승이면서 천사다 121-153.154 인간의 위대함을 보여주지 않고 인간이 얼마나 짐승 같은지를 지나치게 보여 주는 것은 위험하다. 그리고 비속함 없이 그의 위대함을 지나치게 보여 주는 것도 위험하다. 이 두 사항을 모른 채 내버려 두는 것은 더더욱 위험하다. 그러나 이 두 면을 보여 주는 것은 매우 이롭다. 사람은 자신이 짐승 같다거나 천사 같다고 믿어서도 안 되고, 이 두 점을 몰라도 안 되며, 둘 다 알아야 한다. 놀랍지 않은가. 파스칼의 팡세를 읽을 때마다 이 사람이 궁금해진다. 여기서는 어떤 것에 대해 아는 것에 주의를 준다. 먼저는 자신의 비참함을 너무 보면 안 된다. 그는 그것이 전부라 생각하고 짐승처럼 행동하여 자신을 망가뜨린다. 반대로 자신이 천사라.. Pensées 2018. 2. 27.
팡세-신을 갈망하는 이유는? Blaise Pascal 신을 갈망하는 이유는? 인간에게는 통제되지 못하는 어떤 것에 대한 강한 욕구가 잠재하고 있다. 태초에 에덴동산에서 아담이 통제할 수 없는 것은 오직 '선악을 알게하는 나무의 실과'이다. 아담은 그것을 통제함으로 모든 실권을 갖기를 원했다. 그러나 선악과는 통제할 수 없는 것이었다. 필자는 이것을 '신이 되고자하는 욕망'이라고 표현한다. 이 욕망은 너무나 강열하기 때문에 인류의 모든 문명을 발달시켜 왔다. 과학과 의학, 경제 등등의 발달은 결국 인간의 통제욕구에서 나온 것이다. 시간과 공간을 지배하고, 모든 환경을 자신의 통제아래 두려하는 것이 바로 신이 되려는 욕망인 것이다. 오직 신만이 모든 것을 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담의 타락이나 바벨탑 사건 등은 모두 모든 것을 지배.. Pensées 2012. 8. 28.
팡세 257 세 부류의 사람들 이 세상에는 다만 세 부류의 사람들이 있을 따름이다. 첫 번째는 신을 발견하여 이를 섬기는 사람들, 두 번째는 신을 발견하지 못하고 그를 애써 구하는 사람들, 그리고 세 번째는 신을 발견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추구하려 하지도 않는 사람들이다. 첫 번째 사람들은 도리에 합당하고 행복하며, 세 번째 사람은 도리에 어긋나기 때문에 불행하며, 중간의 사람들은 도리에 합당하지만 불행하다. Pensées 2011. 9. 3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