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 헨리 윌리몬 (William Henry Willimon)

Book/저자읽기|2021. 8. 30. 10:54
반응형

윌리엄 헨리 윌리몬 (William Henry Willimon)

윌리엄 헨리 윌리몬 (William Henry Willimon)
https://en.wikipedia.org/wiki/William_Henry_Willimon#/media/File:William_H._Willimon.jpg

제가 읽었던 저자 중에서 C.S 루이스 이후 가장 매력적인 저자가 아닐까 싶을 정도록 글을 잘 씁니다. 성향이 로완 윌리엄스와 닮은 듯 닮지 않은 느낌이 강합니다. 제가 은유와 상징을 좋아해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이 분의 글이 마음에 듭니다.

윌리엄 윌리몬(William Willimon)

1946년생. 미국 감리교 신학자이자 목회자. 워포드 대학에서 공부한 뒤 예일 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목회학 석사M.Div 학위를, 에모리 대학 교에서 신학박사STD 학위를 받았다. 4년간 조지아와 사우스 캐롤라이 나에서 목회를 한 뒤 듀크 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실천신학 교수 겸 듀크 대학교 교목실장으로 20년간 활동했으며 2004년 미국 연합감리 교회 감독이 되어 8년간 북앨라배마 연회 소속 감리교인들을 이끌었 다. 현재 듀크 대학교로 다시 돌아와 실천신학 교수로 활동중이다. 저 명한 그리스도교 잡지 「크리스천 센츄리」Christian Century의 편집장을 역 임했으며 워포드 대학, 콜게이트 대학교 등 13개 대학교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6년 베일러 대학교에서 선정한 영어권에서 가장 탁월한 설교자 12명 중 한 명이며 유진 피터슨, 헨리 나우웬과 더불어 미국 개신교 목회자들이 가장 많이 읽는 그리스도교 저술가 중 한 사람으로 꼽힌다. 주요 저서로 『예배가 목회다』Worship as Pastoral Care(새세대 역간), 『목회자』Pastor: The Theology and Practice of Ordained Ministry(한국기독교연구소 역간), 『누가 구원받을 것인가?』Who Will Be Saved?, 『성육신』Incarnation, 회고록인 『어쩌다 목회자가 되어』Accidental Preacher, 스탠리 하우어워스와 함께 쓴 『하나님의 나그네 된 백성』Resident Aliens: Life in the Christian Colony(복 있는 사람 역간), 『주여, 기도를 가르쳐 주소서』Lord, Teach Us: The Lord’s Prayer and the Christian Life(복 있는 사람 역간), 『십계명』The Truth About God (복 있는 사람 역간) 등이 있다. [출판사 제공]

 

번역 출간된 책들을 정리한 것입니다. 출간날짜에 맞춰 신간 우선으로 배열한 것입니다.

 

 

[갓피플몰] 윌리엄 윌리몬 저서 세트(전8권)

 

mall.godpeople.com

 

기억하라, 네가 누구인지를 - 세례를 받는 모든 이에게 ㅣ 비아 에세이 

윌리엄 윌리몬 (지은이), 정다운 (옮긴이) | 비아 | 2020년 3월

https://gpf.kr/H49WL

 

[갓피플몰] 기억하라, 네가 누구인지를

 

mall.godpeople.com

오라 주님의 식탁으로

성만찬에 대한 정경신학적 고찰이다. 사색의 깊이가 남다르다. 강력 추천한다.

 

 

 

[갓피플몰] 오라, 주님의 식탁으로

 

mall.godpeople.com

 

 

하나님의 나그네 된 백성 - 이 땅에서 그분의 교회로 살아가는 길, 개정증보판 

스탠리 하우워어스, 윌리엄 윌리몬 (지은이), 김기철 (옮긴이) | 복있는사람 | 2018년 9월

교회 공동체에 대한 이야기다. 정말 빼어나다.

 

 

[갓피플몰] [개정 증보판] 하나님의 나그네 된 백성

 

mall.godpeople.com

 

 

하나님의 나그네 된 백성 - 이 땅에서 그분의 교회로 살아가는 길 

스탠리 하우어워스, 윌리엄 윌리몬 (지은이), 김기철 (옮긴이) | 복있는사람 | 2008년 8월

 

 

예배가 목회다 

윌리엄 윌리몬 (지은이), 최승근, 박성환 (옮긴이) | 새세대 | 2017년 9월

 

 

성령 - 교회는 왜 성령을 잃어버렸는가 

스탠리 하우어워스, 윌리엄 윌리몬 (지은이), 김기철 (옮긴이) | 복있는사람 | 2017년 2월

 

예배와 설교 클리닉 

윌리엄 윌리몬 (지은이), 김윤규 (옮긴이) | 한들출판사 | 2014년 11월

 

십계명 

스탠리 하우어워스, 윌리엄 윌리몬 (지은이), 강봉재 (옮긴이) | 복있는사람 | 2007년 10월

 

주여, 기도를 가르쳐 주소서 - 주기도와 하나님 나라 

스탠리 하우어워스, 윌리엄 윌리몬 (지은이), 이종태 (옮긴이) | 복있는사람 | 2006년 9월

 

설교학 사전 

윌리엄 윌리몬 (지은이), 이승진 (옮긴이) | 기독교문서선교회(CLC) | 2003년 8월

 

 

사도행전 ㅣ 현대성서주석  

윌리엄 윌리몬 (지은이) | 한국장로교출판사(한장사) | 2000년 7월

 

목회자 : 목회의 신학과 실천 

윌리엄 윌리몬 (지은이), 최종수 (옮긴이) | 한국기독교연구소 | 2017년 10월

 

 

Will Willimons Lectionary Sermon Resource, Year C Part 1 (Paperback)   해외주문

윌리엄 윌리몬 (지은이) | Abingdon Pr | 2018년 5월

 

Ceb Wesley Study Bible: Clover Honey Bonded Leather (Bonded Leather)   해외주문

윌리엄 윌리몬, Joel B. Green (지은이) | Common English Bible | 2018년 2월

 

Will Willimons Lectionary Sermon Resource: Year B Part 2 (Paperback)   해외주문

윌리엄 윌리몬 (지은이) | Abingdon Press | 2017년 12월

 

갓피플 윌리엄 윌리몬 세트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Book > 저자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루스 월트키(Bruce K. Waltke)  (0) 2021.01.27
J. 주베르(Joseph Joubert)  (0) 2021.01.16
엔도 슈사쿠  (0) 2020.07.13
알렉산더 슈메만 Alexander Schmemann  (0) 2020.05.10
[저자읽기] 최주훈  (0) 2020.04.07

댓글()

브루스 월트키(Bruce K. Waltke)

Book/저자읽기|2021. 1. 27. 12:13
반응형

브루스 월트키(Bruce K. Waltke)

 

브루스 월트키(Bruce K. Waltke)

 

브루스 월트키는 구약 신학에 관심있는 이들이라면 익히 아는 저명한 학자이다. 구약신학과 창세기 주석으로 유명하다. 

복음주의 학계에서 성경 원어와 구약학에 정통한 대가로 인정받는 걸출한 학자다. 1930년 미국 뉴저지에서 태어났으며, 호턴 대학을 졸업했고 댈러스 신학교(Th.M., Th.D.)를 거쳐 하버드 대학교에서 박사학위(Ph.D.)를 받았다. 댈러스 신학교,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리폼드 신학교, 리젠트 신학교, 낙스 신학교 등에서 강의했고 ‘미국복음주의신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NASB, NIV 성경 번역위원으로도 활동했다.

An Introduction to Biblical Hebrew Syntax, Creation and Chaos, The Book of Proverbs, The Commentary on Micah, The Psalms as Christian Worship, The Psalms as Christian Lament, 『구약신학』(부흥과개혁사), 『분별』(나침반), 『하나님의 뜻 하나님의 인도』(생명의말씀사) 등 다수의 저서와 주석서 및 논문을 집필했으며 여러 사전의 편찬에도 기여했다. 2002년에 『창세기 주석』으로 미국 복음주의출판협의회(ECPA)가 수여하는 ‘골드 메달리언 북 어워드’를, 2008년에는 『구약신학』으로 ECPA의 ‘올해의 책’을 수상했다. -알라딘 제공

 

 『하나님의 뜻 하나님의 인도』 생명의말씀사
 『창세기 주석』 2018-12-21 새물결플러스
이 책은 캐시 J. 프레드릭스와 공저했과 김경열이 번역했다.

 

 

2020년 5월 부흥과개혁사에서 출간된 NICOT 시리즈 잠언1(1-15장) 저자이다.

 

 

[갓피플몰] NICOT 잠언 I (1-15장)

 

mall.godpeople.com

 

구약신학 2012년 부흥과개혁사에서 번역 출간했다.

 

 

 

[갓피플몰] 구약신학

 

mall.godpeople.com

 

 

창세기 주석

 

[갓피플몰] 창세기 주석

 

mall.godpeople.com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Book > 저자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윌리엄 헨리 윌리몬 (William Henry Willimon)  (0) 2021.08.30
J. 주베르(Joseph Joubert)  (0) 2021.01.16
엔도 슈사쿠  (0) 2020.07.13
알렉산더 슈메만 Alexander Schmemann  (0) 2020.05.10
[저자읽기] 최주훈  (0) 2020.04.07

댓글()

J. 주베르(Joseph Joubert)

Book/저자읽기|2021. 1. 16. 20:45
반응형

J. 주베르(Joseph Joubert)

"가르치는 것은 두 번 배우는 것이다."

 

주베르(1754-1824)는 프랑스의 작가 겸 비평가이다. 1778년 프랑스 혁명 직후 수년간 치안 재판소의 판사였다. 14세가지 툴루즈에 있는 신학교에 다녔으며, 그곳에서 1776년까지 수학했다.

 

18세기는 변혁과 혁명의 시기며, 이성이 최고조에 다른 시기다. 주베르는 프랑스 모랄리스트(French moralist)로 불리는 일단의 무리들 중의 한 명이다. 모랄리스트는 인간성에 대한 성찰을 주로 에세이나 격언집 등의 형식을 빌어 기술하는 일련의 프랑스 작가들을 일컫는다.

 

도덕가란 의미도 담는 모랄리스트는 16세기 <수상록>을 쓴 몽테뉴를 비롯하여 17세기에 절정을 이룬다. <잠언과 성찰>의 라 로슈푸코, <팡세>의 블레이즈 파스칼, <사람은 가지가지>의 라르뤼예르 등이 있다. 이 시기를 17세기 고전주의 문학시대로 부른다. 

 

 

Joseph Joubert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Book > 저자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윌리엄 헨리 윌리몬 (William Henry Willimon)  (0) 2021.08.30
브루스 월트키(Bruce K. Waltke)  (0) 2021.01.27
엔도 슈사쿠  (0) 2020.07.13
알렉산더 슈메만 Alexander Schmemann  (0) 2020.05.10
[저자읽기] 최주훈  (0) 2020.04.07

댓글()

엔도 슈사쿠

Book/저자읽기|2020. 7. 13. 23:02
반응형

엔도 슈사쿠(Endo Shusaku , 遠藤周作)


(1923,3,27-1996,9,29)

엔도 슈사쿠(Endo Shusaku , 遠藤周作)엔도 슈사쿠(Endo Shusaku , 遠藤周作)




가톨릭 신자인 그는 일본인의 관점으로 신앙과 인간의 실존을 해석한다. <침묵>을 통해 한국에 잘 알여진 작가이다. 최근 김승철 교수에 의해 엔도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었고, 다양한 출판사를 통해 번역 출간되었다.


제목/ 번역자/ 출판사 / 번역출판일

『바보』 김승철 / 문학과지성사 2020,07 / 

『전쟁과 사랑』 김승철 / 바오로딸 2020,05


『엔도 슈사쿠의 문학 강의』 송태욱 / 포이에마, 2018,09

『이제 나부터 좋아하기로 했습니다』 김영주 / 북스토리 2018,08

『엔도 슈사쿠의 동물기』 안은미 / 정은문구 2018년 5월

『마리 앙투아네트2』 김미형 / 티타임 2017년 12월

『마리 앙투아네트1』 김미형 / 티타임 2017년 12월

『아버지』 이은형 / 지운 / 2017년 2월

『나에게 있어서 하느님은』 맹영선 / 성바오로딸 / 2017년 1월

『침묵의 소리』 김승철 / 동연 / 2016년 10월

『인생에 화를 내봤자』 장은주 / 위즈덤하우스 / 2015년 10월

 『엔도 슈사쿠 단편 선집』 이평춘 / 어문학사 / 2015년 6월

『순교자』 이은형 / 지운 / 2013년 6월






[참고자료]


다음백과 엔도 슈사쿠



김승철 <문화와신학> 기독교사상 (2015년 4월호)


http://www.gisang.net/bbs/board.php?bo_table=gisang_culture&wr_id=913&main_visual_page=gisang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Book > 저자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루스 월트키(Bruce K. Waltke)  (0) 2021.01.27
J. 주베르(Joseph Joubert)  (0) 2021.01.16
알렉산더 슈메만 Alexander Schmemann  (0) 2020.05.10
[저자읽기] 최주훈  (0) 2020.04.07
[저자읽기] 로버트 H. 스타인  (0) 2020.04.07

댓글()

알렉산더 슈메만 Alexander Schmemann

Book/저자읽기|2020. 5. 10. 23:07
반응형

알렉산더 슈메만 Alexander Schmemann

알렉산더 슈메만 Alexander Schmemann알렉산더 슈메만 Alexander Schmemann

누군가를 안다는 것은 새로운 세상을 만나는 것이다. 한 사람은 하나의 세상이다. 그 만의 가치관, 관점, 견해, 해석, 방식, 이해를 만나기 때문이다. 독서는 이렇게 광위적이고 포괄적인 배움이다. 비아에서 출판된 <우리 아버지>를 읽으면서 또 한 분의 저자를 만난다. 아직 낯설고 어색한 저자이다. 단 한 번도 읽은 적이 없는 저자이다. 몇 줄의 저자 소개를 그를 온전히 이해할 수 없겠지만 요약된 것으로 그의 생의 행보를 조금이나마 접할 수 있어 다행이다.


알렉산더 슈메만(Alexander Schmemann)

1921년생. 정교회 사제이자 신학자. 에스토니아 탈린에서 러시아 이민자 가족의 아들로 태어나 일곱 살 때 가족을 따라 프랑스로 이주한 뒤 성 세르기오스 신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했다. 1946년에는 사제서품을 받고 성 세르기오스 신학교에서 교회사를 가르침과 동시에 클라마르에 있는 교회에서 사목활동을 하다 1951년 미국에 있는 성 블라디미르 신학교의 교수진으로 합류해 교회사를 가르쳤다. 1955년에는 게오르기 플로롭스키의 뒤를 이어 학장이 되었고 1983년 세상을 떠날 때까지 학장직을 유지했다. 그 외에도 콜럼비아 대학교, 뉴욕 대학교, 유니온 신학교의 겸임교수로 활동하며 정교회 신학과 전례학, 교회사 등을 가르쳤다. 버틀러 대학교, 성공회 신학교, 라파예트 대학, 성 십자가 신학교 등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결혼한 정교회 사제가 받을 수 있는 가장 커다란 영예인 대사제protopresbyter 직함을 받았다. 영어권, 특히 미국에 정교회 신학을 본격적으로 소개한 대표적인 학자이자 기존에 교회사, 혹은 교회법의 하위 분야로 속해있던 전례 신학 혹은 예배학을 신학의 한 분야로 정착시킨 신학자로 평가받는다.

주요 저서로 『세상에 생명을 주는 예배』For the Life of the World(복 있는 사람), 『대 사순절』Great Lent(정교회 출판사), 『전례 신학 입문』Introduction to Liturgical Theology, 『물과 성령으로』Of Water and the Spirit 등이 있다.  

알라딘 제공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Book > 저자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J. 주베르(Joseph Joubert)  (0) 2021.01.16
엔도 슈사쿠  (0) 2020.07.13
[저자읽기] 최주훈  (0) 2020.04.07
[저자읽기] 로버트 H. 스타인  (0) 2020.04.07
에드워드 버넷 타일러 (Edward Burnett Tylor)  (0) 2020.04.03

댓글()

[저자읽기] 최주훈

Book/저자읽기|2020. 4. 7. 20:57
반응형

[저자읽기] 최주훈

참 따뜻한 사람이다. 직접 만난 적은 없지만 글에서 느껴지는 온유함은 숨길 수가 없다. 저술과 번역에 힘을 쏟고 있다. 세상과 결별하지 않으면서 동조하지 않는 통찰력있는 경건의 안목은 독자들을 행복하게 한다.

최주훈

루터대학교 신학과와 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을 졸업하고, 독일 레겐스부르크 대학교에서 조직신학으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중앙루터교회 담임목사로 사역하고 있다. 저서로는 『루터의 재발견』(복 있는 사람), 『신론』, 『교회론』(대한기독교서회, 공저)이 있고, 『기독교와 현대사회』(크리스천헤럴드), 『마르틴 루터 대교리문답』(복 있는 사람), 『마르틴 루터 소교리문답·해설』(복 있는 사람)을 우리말로 옮겼다.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