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교회사89

[초대교회교부] 초대교회 교부 목록

[초대교회교부] 초대교회 교부 목록List of Church FathersThe Church Fathers, 11세기에 그려진 교부 사진 초대교회 교부 목록을 정리했습니다. 계속하여 수정 첨가 됩니다. 교부들의 저작 문헌은 다른 글에 있습니다. 시작일 2017년 10월 5일 00:39- 미완성 [교회사/초대교회교부] - 초대교회 교부 문헌 목록 교부(敎父)란 누구인가? 왜 교부라 부르는가? 가톨릭과 개신교는 같은 뿌리를 가진다. 루터에 의해 종교개혁이 일어나기 전까지 기독교는 하나였다. 아니 둘이었다. 동방 정교회가지 합하면. 동방 정교회는 엄밀한 의미에서 가톨릭과 그리 다르지 않다. 그리고 그다지 문제되지 않는다. 어쨌든 가톨릭이든 개신교도는 종교개혁 이전과 교회의 뿌리로 돌아가려면 두 주제를 살펴야 .. 교회사/인물.교회사.신학 2017. 12. 13.

[초대교회 교부] 히에로니무스 또는 제롬

히에로니무스 또는 제롬 에우세비우스 소프로니우스 히에로니무스(라틴어: Eusebius Sophronius Hieronymus, 348년 - 420년 9월 30일) 또는 예로니모, 제롬(영어: Jerome)은 기독교 성직자이다.[1]. 제1차 니케아 공의회 이후의 로마 가톨릭교회 신학자이자 4대 교부 중 한 사람으로서 불가타의 역자로 잘 알려져 있다. 그의 이름은 고대 그리스어 '히에로뉘모스(Ἱερώνυμος →신성한 사람)'에서 유래한다. 로마 가톨릭교회에서는 중요한 성인으로 추대하는 교회박사 가운데 한 사람이다. 축일은 9월 30일. 흔히 상체를 벗은 은수자로서 펜을 들고 저술에 몰두하거나 돌로 가슴을 치는 모습으로 표현된다. 상징물은 십자가·해골·모래시계·책·두루마리이며, 학자·학생·고고학자·서적상·.. 교회사 2017. 12. 13.

테오도시우스 칙령

테오도시우스 칙령 380년 2월 27일 테오도시우스 칙령 기독교를 정식적으로 국교화함 데살로니가에서 선포되었다 하여 데살로니가 칙령으로 부르기도 한다. 313 밀라노 칙령 콘스탄틴에 기독교에 자유를 선언함 380년 테오도시우스 칙령 테오도시우스 1세(Flavius Theodosius, 347-395)에 의한 칙령이다. 테오도시우스 1세 또는 테오도시우스 대제로 불린다. 그라티아누스 황제로부터 동로마 제국을 이어받아 황제가 된다. 서로마의 발렌타니누스 2세가 죽자 서로마까지 함께 지배한 마지막 통합? 황제이다. 그가 죽자 로마는 동로마와 서로마로 완전히 분리된다. 그는 기독교를 로마 제국의 공식적인 국교로 만들었다. 기독교 부흥 정책은 기독교 계열의 역사가들로부터 대제라는 칭호를 받게 했다. 테오도시우스는.. 교회사 2017. 11. 14.

키프리아누스- 교회를 어머니로

키프리아누스- 교회를 어머니로 존 칼빈이 기독교를 시작하며 선언한 유명한 말이다. 그런데 이 말은 키프리아누스의 에 있는 말이다. 교회를 어머니로 모시지 않는 사람은 하나님을 아버지로 모실 수 없습니다. Habere iam non potest Deum patrem, qui Ecclesiam non habet matrem 교회 밖에 있는 사람 역시 구원 받을 수 없습니다. 가톨릭 교회를 로마 천주교회로 착각하는 이들이 있는데, 아니다. 물론 초대교회 당시는 분리가 없는 하나의 교회 였기 때문에 보편교회 지역교회가 엄밀하게 구분하지 않았다. 이유도 없었다. 그러나 분리 주의자들이 일어나면서 교회는 다시 정립해야할 필요가 생긴다. 교회 밖에 구원이 없다.교회는 어머니다는 뜻은 교회 진리가 있다는 말이다. 교회사/인물.교회사.신학 2017. 11. 10.

중세 교부 안셀무스 프로슬로기온

중세 교부 안셀무스 프롤로기온 중세 스콜라 철학을 연 사람이면서 플라톤 철학의 기반 위에서 신학을 세웠던 안셀무스의 프로슬로기온 라티언 원문입니다. 하나님을 증명하려 했던 안셀무스는 성경의 논리가 아닌 순수 이성의 방법을 통해 하나님을 추적합니다. 현대의 철학의 의미에서 이미 저물어간 방법이지만 당시로서의 혁명적 방법이었습니다. 논증이기 보다는 차라리 신앙고백에 가까운 아름다운 글입니다. ANSELMUS CANTUARIENSIS PROSLOGION 라틴어 사이트. ProoemiumPostquam opusculum quoddam velut exemplum meditandi de ratione fidei cogentibus me precibus quorundam fratrum, in persona alicu.. 교회사 2017. 10. 24.

안티레티코스

교부 문헌 사이트 에바그리우스 폰티쿠스 안티레티코스 http://www.koabbey.com/monklife/333418 교회사 2017. 10. 23.

초대교회 공의회 역사

초대교회 공의회 역사 *이 글을 계속하여 증보됩니다. 초대교회 7 공의회 니케아 공의회(325)부터 2차 니케아 공의회(787)까지의 공의회를 일컫는다. 개신교에서는 콘스탄티노플 공의회(680-681)까지만 바른 공의회로 인정한다. 예루살렘 공의회 50년 최초의 공의회는 기원후 50년 즈즘에 있었던 예루살렘 공의회이다. 이곳에서 교회는 구원을 받기 위해서는 유대인의 할례나 율법이 아닌 오직 예수를 믿음으로 가능하다고 말한다. 이 회의로 인해 예루살렘과 유대에 머물렀던 교회는 사마리아와 땅 끝까지 전파되는 계기가 된다. 그 이후 베드로가 아닌 사도바울의 활동이 강조되는 것은 당연해 보인다 325년 니케아 공의회 예수는 하나님의 아들로서 영원 전부터 존재했다. 아리우스는 영원전부터 존재한 분이 아니고 피조물.. 교회사 2017. 10. 23.

[교부문헌] 디다케- 열두사도들의 가르침

[교부문헌] 디다케- 열두사도들의 가르침디다케 서평은 아래의 링크에 있습니다. [기고글/마이트웰브] - 디다케-열두 사도들의 가르침 출판사 소개글 “열두 사도들을 거쳐 백성들에게 베푸신 주님의 가르침”이라는 긴 이름도 있는데, 실은 100년경 시리아 지방 어느 시골 교회의 그리스도인이 편집한 교회 규범서. 당시 유대교와 유대계 그리스도교에서 유행하던 (1-6장)을 수용하고 아울러 교회전례(7-10장), 교회 규범(11-15장), 예수내림(16장) 등 교회 전승들을 모아 교회사상 맨 처음 으로 엮은 교회규범서다. 1873년 그리스 정교회의 콘스탄티노플에 있는 성묘수도원에서 발견된 양피 지 사본의 이 규범서는 100년경 시리아 지방 시골 교회의 모습을 보여준다. 곧 그 교회의 세례, 주간단식과 주님의 기도,.. 교회사/인물.교회사.신학 2017. 10. 22.

[교부문헌] 안디옥의 요한 크리소스톰

[교부문헌] 안디옥의 요한 크리소스톰 황금의 입으로 불리는 탁월한 설교자였던 요한 크리소스톰 또는 요한네스 크리소스토무스의 저작 목록입니다. 현재 크리스톰의 책들을 일관성이 없고, 저자의 이름도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어 찾아보기 힘들다. 신학적으로는 그다지 중요한 인물은 아니다. 일단 그는 부와 권세자들에게 굴하지 않았다는 점과 약자들을 볼보는 사역에 힘썼다는 점에서 위대하다. 여기저기 흩어진 그의 책들을 모아 정리 해 보았다. 이름도 가지각색이고, 출판사도 천차만별이다. 그래서 찾고 찾아 여기에 모은다. 전기 요한 크리소스토무스 / 루돌프 브랜들레 / 이종환 옮김 / 분도출판사 / 2016.3 번역된 책들 단순하게 살기 / 이현주 / 아침이슬 / 2008.6 이 책이 번역되어 있다는 것 자체가 신기할 따.. 교회사/인물.교회사.신학 2017. 10. 20.

어거스틴 고백록 라틴어(Augustini Confessiones)

어거스틴 고백록 라틴어(Augustini Confessiones) “당신은 우리를 당신을 향해서(ad te) 살도록 창조하셨으므로 우리 마음이 당신 안에서(in te) 안식할 때까지는 편안하지 않습니다.”(quia fecisti nos ad te et inquietum est cor nostrum, donec requiescat in te.) 어거스틴의 라틴어 고백록 사이트. 아래는 고백록 1권에 해당되는 라틴어 원문이다. Liber ICAPUT 1Magnus es, domine, et laudabilis valde: magna virtus tua, et sapientiae tuae non est numerus. et laudare te vult homo, aliqua portio creaturae tu.. 교회사/인물.교회사.신학 2017. 10. 2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