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교회사89

2019년 교회력과 성서일과

2019년 교회력과 성서일과(도서출판 KMC 제공) 도서출판 KMC에서 공개한 2019 교회력과 성서일과입니다. 하면 하단에 한글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1월1일 새해/흰색전도서 3:1~13 시편 8 요한계시록 21:1~6a 마태복음 25:31~46 6일 주현절/흰색, 신년주일이사야 60:1~6시편 72:1~7, 10~14 에베소서 3:1~12마태복음 2:1~12 13일 주현 후 제1주/흰색, 세례주일, 신학대학주일 이사야 43:1~7시편 29 사도행전 8:14~17누가복음 3:15~17, 21~22 20일 주현 후 제2주/녹색이사야 62:1~5시편 36:5~10 고린도전서 12:1~11요한복음 2:1~11 27일 주현 후 제3주/녹색느헤미야 8:1~3, 5~6, 8~10시편 19 고린도전서 1.. 교회사 2019. 1. 3.

존 위클리프(John Wycliff, 1324~1384), 종교개혁인물

존 위클리프(John Wycliff, 1324~1384), 종교개혁인물존 위클리프(John Wycliffe) 생애와 사상 1. 종교개혁 이전의 역사적 상황 종교개혁은 어느 날 갑자기 일어난 운동이 아닙니다. 중세가 초대교회의 영향을 받아 일어난 시대적 현상이듯, 종교개혁 역시 중세가 낳은 시대적 아들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교개혁 사건은 혁명적이라 부를 만큼 중세와 너무나 다른 격변(激變)의 시기를 가져왔습니다. 종교개혁이 처음부터 폭풍처럼 몰아친 것이 아니었으며, 새로운 종교의 탄생을 기대하거나 원하지도 않았습니다. 루터의 95개조 사건은 교회의 개혁과 재건을 위한 루터의 작은 소망이었습니다. 그렇지만 나비의 날갯짓이 지구의 건너편에서 폭풍이 될 수 있듯, 그것은 사방에 휘발성 물질이 뿌려진 곳에 .. 교회사/인물.교회사.신학 2018. 12. 12.

크리스마스 트리의 기원

크리스마스 트리의 기원 성탄절이 코앞입니다. 오늘은 성탄절에 사용하는 ‘성탄절 트리’에 대해 알아봅시다. 지금은 장식용 트리를 구입해 사용했지만 예전에는 산에서 직접 나무를 베어와 사용했죠. 시골에서 성탄절을 보낼 때가 생각이 납니다. 11월 말이나 12월 초가 되면 성탄절을 준비한다며 십자가에 장식용 전등도 달고, 트리 장식도 했죠. 추운 겨울 친구와 산에 올라 자신의 키 만큼한 나무를 베어 교회로 가져와 장식했던 기억이 선합니다. 당시에는 산에서 나무하는 것이 불법적인 아니었지만, 지금은 절대 해서는 안 되는 일입니다. 그런데 대체 성탄절 트리는 어디서 온 것일까요? 왜 다른 장식을 하는 것으로 만족하지 못하고, 나무를 가져와 장식을 했을까요? 성경 속의 나무 일단 성경에 나오는 나무를 살펴봅시다. .. 교회사 2018. 12. 8.

루터, Martin Luther

루터, Martin Luther 마르틴 루터, 1483년에 태어나 1546년에 하나님의 품에 안겼다. 아마도 교회 역사상 가장 유명한 몇 사람 중의 한 명일 것이다. 성경시대를 넘어 어거스틴과 안셀름, 토마스 아퀴나스, 그리고 루터가 아닐까? 시대적으로 보면 그렇다. 1517년 10월 31일. 쿠텐베르크 성당 문에 95개조를 붙여 종교개혁의 불씨를 당겼다. 그러나 비평적 자료에 의하면 성당문을 아니라고 한다. 자, 이제 루터의 이야기를 시작해보자.*이 글은 완성된 글이 아니면 계속하여 수정 증보됩니다. 1. 생애1483년 독일의 작센안할트 주 아이슬레벤에서 한 아이가 태어난다. 그의 이름은 교회사에 길이남을 마르틴 루터이다. 아버지는 한스 루터(Hans Luther)이며, 어머니는 마가레테 린데만(Mar.. 교회사/인물.교회사.신학 2018. 12. 5.

[청교도인물] 토마스 왓슨

[청교도인물] 토마스 왓슨 일반적으로 토마스 왓슨에 대해 알려진 사실은 아래와 같다. 알라딘의 저자파일에서 가져온 것이다. 토머스 왓슨17세기의 저명한 설교자로, ‘청교도의 산실’이라고 불리는 케임브리지 임마누엘 칼리지를 졸업한 뒤 1646년에 성 바울 교회와 런던 윌브룩에 있는 성 스데반 교회에서 16년 동안 목회하며 훌륭한 설교자의 반열에 올랐다. 1651년에 이른바 ‘러브의 음모’ 에 가담한 죄로 몇 달 동안 감옥에 갇혔고, 1662년에 통일령이 발효되면서 강단에서 내쫓겼지만, 말씀을 듣기 위해 모여든 사람들과 개인적으로 교제하며 쉬지 않고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던 중 건강이 악화되어 사역을 중단하고 지내다가 1686년, 기도하는 중에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았다. 생전에 웨스트민스터 회의에서 소요리문답.. 교회사/인물.교회사.신학 2018. 11. 23.

[종교개혁사 인물]

[종교개혁사 인물] 종교개혁에 관련된 인물 목록입니다.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친 인물을 중심으로 엮었습니다. 최종글이 아니면 계속하여 수정 증보됩니다. 기본적으로 위키백과 사전을 참조하여 수정 증보 되었음을 밝힙니다. 1. 종교개혁 이전 존 위클리프(John Wycliffe, 1320년경 ~ 1384년) 존 위클리프(John Wycliffe, 1320년경 ~ 1384년)는 영국의 기독교 신학자이며 종교개혁가이다. 옥스퍼드 대학을 졸업하였으며, 1374년 교황이 납세 문제로 영국왕 에드워드 3세를 불러들였을 때 위클리프도 사절단으로 따라갔다. 그 후 교구장이 되어 로마 교황청의 부패를 탄핵하기 시작하였다. 교황 그레고리우스 11세로부터 이단이라는 비난을 받았으나, 계속해서 교황의 권력과 로마 가톨릭교회의 .. 교회사/인물.교회사.신학 2018. 11. 13.

[중세인물] 보나벤투라(Sanctus Bonaventura; 1218? - 1274,7,15)

[중세인물] 보나벤투라(Sanctus Bonaventura; 1218? - 1274,7,15) 토마스 아퀴나스와 동료중세 신비주의자 교회사/인물.교회사.신학 2018. 9. 29.

기독교 교리 공부 단계

기독교 교리 공부 단계 교리라고 하면 단어 자체에서 강렬한 인상을 주기 때문에 상당한 부담감을 가진 분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교리는 성경에 나오는 이야기들을 한 가지의 주제로 정리한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1. 기초 교리 교리의 기초는 사도신경입니다. 성경의 연대기적 역사를 따르며 가장 기본적인 교리를 다루고 있습니다. 가장 기초적인 교리 단계는 하나님은 누구시며, 교회는 무엇이며, 믿는 자의 삶이 무엇인지 등의 개론적인 이야기를 다룹니다. 원래 기초교리는 새신자나 새가족반이 들어야하는 과목입니다. 하지만 최근들어 기존의 교회들이 교리를 잘 몰라 일반 교인들과 중직들까지 포함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많이 안타까운 일입니다. 개인적으로 가장 좋은 교재는 세례교육을 위한 가이드입니다. 핵심을 잘 요약해 두.. 교회사 2018. 5. 25.

[중세인물] 둔스 스코투스(Duns Scotus, 1266-1308)

[중세인물] 둔스 스코투스(Duns Scotus, 1266-1308) 둔스 스코투스(Duns Scotus, 1266년~1308년)는 영국 스코틀랜드의 스콜라 철학자이다. 로마 가톨릭교회의 복자이며 '영민한 박사'(Doctor Subtilis)라고 불렸다. 주요작품으로 'Opus oxoniense'와 'Opus parisiense' 2부로 구성된 명제집 주석서가 있다. 기독교인으로 프란체스코회(작은형제회)에 입회하고 옥스퍼드에서 배웠으며, 학업을 마친 다음에는 그곳에서 교편을 잡았고, 1305년부터는 파리에서 가르쳤으며, 1308년 쾰른에서 사망하였다. 그는 옥스퍼드에서 일어난 새로운 자연 연구의 영향과 프란체스코회의 신학적 노선 아래에서 아우구스티누스의 영향을 받아 토마스 아퀴나스의 사상에 반대하고 중세.. 교회사/인물.교회사.신학 2018. 4. 24.

기독교 공의회의 역사

기독교 공의회의 역사 기독교 역사 가운데 있었던 중요한 공의회를 소개합니다. 이곳에서 개론적인 내용만 다루고 자세한 내용은 각각의 포스팅에서 다룹니다. 내용은 계속하여 수정 보완됩니다. 예루살렘 공의회 사도행전 15장에 기록되어 있다. 이방인들의 구원은 율법이나 할례가 아닌 믿음으로 가능하다고 선언한다. 유대인의 종교에서 보편종교로의 첫발을 디딛 사건이다. 사도행전의 보편논쟁에 대한 이슈도 찾아보라. 일곱 공의회 기간 (제1차 니케아 공의회,325년 - 제2차 니케아 공의회,787년) 니케아 회의(The Council of Nicaea, 325) 사도행전 15장을 제외한 기독교 최초의 공의회이다. 예수의 성육신을 결정한다. 예수는 하나님의 피조물이 아니라는 결정을 통해 삼위일체를 완성한다. 예수의 신성을.. 교회사 2018. 4. 1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