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구약역사서440

열왕기하 16장 주해 및 강해

열왕기하 16장 강해열왕기하 16장 요약유다 왕 아하스는 하나님 보시기에 악을 행하며, 이방의 우상 숭배를 본받아 자녀를 불로 제물로 바치는 죄를 범합니다(16:1-4). 북이스라엘과 아람이 예루살렘을 공격하자, 아하스는 앗수르 왕 디글랏빌레셀에게 도움을 요청합니다(16:5-9). 아하스는 앗수르의 지원을 받아 위기를 넘기지만, 앗수르를 의지한 대가로 예루살렘 성전의 구조와 예배 방식을 변질시킵니다(16:10-18). 이러한 행위는 유다의 영적 타락을 심화시키며 하나님의 심판을 예고하는 사건이 됩니다.열왕기하 16장 구조분석아하스의 악행과 우상 숭배 (16:1-4)아람과 북이스라엘의 공격 (16:5-9)앗수르 왕에게 의존하는 아하스 (16:10-18)아하스의 죽음과 후대에 대한 영향 (16:19-20)열.. 구약역사서 2025. 2. 7.

열왕기하 15장 주해 및 묵상

열왕기하 15장 강해열왕기하 15장 요약열왕기하 15장은 이스라엘과 유다 왕국의 여러 왕들의 통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유다의 웃시야(아사랴)는 하나님의 율법을 따라 선하게 통치하지만, 나병에 걸려 별궁에서 격리된 채 통치권을 상실합니다(15:1-7). 이스라엘에서는 여러 왕들이 짧은 기간 동안 통치하며, 암살과 반란이 반복됩니다. 스가랴, 살룸, 므나헴, 브가히야, 베가 등이 왕위를 차지하지만, 모두 정치적 불안정 속에 권력을 잃거나 암살당합니다(15:8-31). 이러한 혼란 속에서 북이스라엘은 앗수르의 위협에 점점 더 크게 노출됩니다.열왕기하 15장 구조분석유다 왕 웃시야(아사랴)의 통치와 나병 (15:1-7)이스라엘의 왕 스가랴와 살룸 (15:8-15)므나헴의 폭력적 통치와 앗수르의 압박 (15:1.. 구약역사서 2025. 2. 7.

열왕기하 14장 주해 및 묵상

열왕기하 14장 강해열왕기하 14장 요약유다 왕 아마샤는 아버지 요아스를 암살한 신하들을 처형하지만, 그들의 자녀들은 죽이지 않음으로써 율법을 따릅니다(14:1-6). 아마샤는 에돔과 전쟁을 벌여 승리를 거두나, 교만해져 북이스라엘의 여호아스 왕에게 도전하여 전쟁을 일으킵니다(14:7-11). 전쟁에서 패배한 아마샤는 포로로 잡히고 예루살렘 성벽이 무너지는 치욕을 당합니다(14:12-14). 이후 북이스라엘과 유다 왕국은 여러 왕들의 통치와 정치적 혼란 속에서 불안정한 시기를 맞이하게 됩니다(14:17-22).열왕기하 14장 구조분석아마샤의 통치와 율법 준수 (14:1-6)에돔과의 전쟁에서의 승리 (14:7)여호아스와의 전쟁과 패배 (14:8-14)유다와 이스라엘의 정치적 혼란 (14:15-22)이스라엘.. 구약역사서 2025. 2. 7.

열왕기하 13장 주해 및 묵상

열왕기하 13장 강해열왕기하 13장 요약이스라엘의 여호아하스 왕은 하나님께 범죄하여 아람 왕 하사엘의 억압을 받습니다(13:1-3). 여호아하스가 하나님께 간구하자 하나님은 구원자를 보내어 이스라엘을 일시적으로 구원하십니다(13:4-5). 그러나 백성들은 여전히 우상을 숭배하며 회개하지 않았습니다(13:6). 이후 그의 아들 여호아스가 왕위에 오르며, 엘리사는 죽기 전 여호아스에게 아람과의 전쟁에서 승리를 예언하지만, 그의 불완전한 순종으로 인해 제한적인 승리에 그칩니다(13:14-19). 엘리사가 죽은 후에도 그의 능력은 죽은 사람을 다시 살리는 사건으로 나타납니다(13:20-21). 이스라엘은 아람과 계속해서 전쟁을 이어가나 점차 회복의 기미를 보입니다(13:22-25).열왕기하 13장 구조분석여호아.. 구약역사서 2025. 2. 7.

열왕기하 12장 주해 및 묵상

열왕기하 12장 강해열왕기하 12장 요약요아스 왕은 여호야다 제사장의 지도를 받아 유다 왕국을 통치하며, 성전 보수를 위한 개혁을 시작합니다(12:1-5). 성전 수리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성전 헌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며, 제사장들이 직접 수리에 관여합니다(12:6-16). 그러나 여호야다의 죽음 이후 요아스는 신앙적으로 흔들리기 시작합니다. 그의 통치는 아람의 하사엘 왕의 침략으로 큰 위기를 맞게 되고, 결국 신하들의 반란으로 암살당하고 맙니다(12:17-21).열왕기하 12장 구조분석요아스의 성전 보수 계획 (12:1-5)성전 수리 자금 관리 및 집행 (12:6-16)아람의 침략과 위기 (12:17-18)요아스의 암살과 최후 (12:19-21)열왕기하 12장 주목할 내용열왕기하 12장은 요아스 왕이 .. 구약역사서 2025. 2. 7.

열왕기하 11장 주해 및 묵상

열왕기하 11장 강해열왕기하 11장 요약아달랴가 유다 왕위를 찬탈하고 왕가의 후손들을 모두 제거하려 하지만, 요아스가 여호야다 제사장과 그의 아내에 의해 성전에서 보호를 받습니다(11:1-3). 여호야다는 7년 후 반역을 일으켜 아달랴를 처단하고, 요아스를 왕으로 세웁니다(11:12-16). 요아스는 왕위에 오르자 하나님과의 언약을 갱신하고, 우상숭배를 철저히 제거하며 유다 왕국을 다시 하나님의 법에 따라 다스리기 시작합니다(11:17-21).열왕기하 11장 구조분석아달랴의 왕위 찬탈과 요아스의 구출 (11:1-3)여호야다의 반란과 아달랴의 처단 (11:4-16)요아스의 즉위와 언약 갱신 (11:17-21)열왕기하 11장 주목할 내용열왕기하 11장은 하나님의 언약이 어떻게 인간의 역사 속에서 보존되고 회.. 구약역사서 2025. 2. 7.

열왕기하 10장 주해 및 묵상

열왕기하 10장 강해열왕기하 10장 요약예후는 아합 왕가의 완전한 멸망을 이루기 위해 70명의 왕자들을 처형하고, 그들과 관련된 모든 사람들을 제거합니다(10:1-11). 이어서 사마리아의 바알 숭배자들을 속임으로써 한 곳에 모이게 하고, 그들을 몰살시켜 이스라엘에서 바알 숭배를 철저히 근절합니다(10:18-28). 그러나 예후는 여전히 여로보암 시대부터 지속된 금송아지 숭배를 제거하지 못했고, 그의 종교적 개혁은 불완전하게 끝납니다(10:29-31). 결국 하나님은 이스라엘에 앗수르의 압박을 허락하십니다(10:32-36).열왕기하 10장 구조분석아합 왕가의 후손들 처형 (10:1-11)관련된 사람들과 왕족 제거 (10:12-17)바알 숭배자들의 몰살과 종교 개혁 (10:18-28)예후의 불완전한 종교 .. 구약역사서 2025. 2. 7.

열왕기하 9장 주해 및 묵상

열왕기하 9장 강해열왕기하 9장 요약엘리사는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선지자 제자를 보내 예후에게 기름을 부어 북이스라엘의 왕으로 세웁니다(9:1-6). 예후는 즉시 반란을 일으켜 이스르엘로 진군하여 아합의 아들 여호람을 처단하고, 남유다 왕 아하시야도 함께 죽입니다(9:22-28). 이어서 이세벨을 궁전에서 떨어뜨려 죽게 함으로써 하나님의 예언을 성취합니다(9:30-37). 예후는 이로써 아합 왕가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을 완전히 이행하게 됩니다.열왕기하 9장 구조분석예후에게 기름을 부어 왕으로 세움 (9:1-13)예후의 반란과 여호람 왕의 죽음 (9:14-26)아하시야 왕의 죽음 (9:27-29)이세벨의 최후 (9:30-37)열왕기하 9장 주목할 내용열왕기하 9장은 하나님의 예언과 심판이 역사 속에서 어떻.. 구약역사서 2025. 2. 7.

열왕기하 8장 주해 및 묵상

열왕기하 8장 강해열왕기하 8장 요약열왕기하 8장은 엘리사가 예언한 기근과 그로 인한 수넴 여인의 상황, 아람 왕 하사엘의 권력 장악, 그리고 남유다 왕국의 여러 왕들에 대한 이야기를 다룹니다. 엘리사는 수넴 여인에게 7년 동안 다른 곳으로 피신하라고 예언하고, 그녀는 기근이 끝난 후 왕에게 자신의 땅과 재산을 돌려받습니다. 한편, 엘리사는 아람 왕 벤하닷이 병들었을 때 하사엘이 왕위에 오를 것을 예언합니다. 하사엘은 벤하닷을 암살하고 왕위에 오릅니다. 이 장은 또한 유다 왕 여호람과 그의 아들 아하시야의 통치와 그들이 이세벨의 영향 아래 타락한 모습을 기록합니다.열왕기하 8장 구조수넴 여인의 기근 피신과 재산 회복 (8:1-6)엘리사의 하사엘에 대한 예언 (8:7-15)유다 왕 여호람의 악행과 그의 통.. 구약역사서 2025. 2. 5.

열왕기하 7장 주해 및 묵상

열왕기하 7장 강해열왕기하 7장 요약열왕기하 7장은 아람 군대가 사마리아를 포위하여 기근이 극심해진 상황에서 엘리사가 하나님의 구원을 예언하는 이야기입니다. 엘리사는 기근이 곧 끝나고 풍족한 식량이 제공될 것이라고 예언하지만, 왕의 한 신하는 이를 믿지 않습니다. 그날 밤, 하나님은 아람 진영에 두려움을 일으키셔서 군대가 진영을 버리고 도망가게 하십니다. 네 명의 나병환자가 아람 진영에 들어가 풍부한 식량과 물자를 발견하고 이를 사마리아 성에 전합니다. 백성들은 몰려가서 식량을 얻고 기근에서 벗어납니다. 엘리사의 예언을 비웃었던 신하는 백성들의 쇄도 속에 죽음을 맞이합니다.열왕기하 7장 구조엘리사의 기근 종식 예언 (7:1-2)나병환자들의 아람 진영 발견 (7:3-8)나병환자들의 보고와 사마리아 성의 반.. 구약역사서 2025. 2. 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