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아브라함26
롯의 생애와 교훈
1. 롯의 이름과 뜻롯(Lot)은 히브리어로 “לוֹט” (Lot)에서 유래하며, 그 뜻은 “감추다”, “덮다” 또는 “숨다”로 해석됩니다. 이는 롯이 여러 차례 위험 속에서 하나님의 보호를 경험한 것과 연결될 수 있습니다. 롯은 아브라함의 조카로서, 하나님의 축복과 구속 역사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입니다. 2. 롯의 생애롯의 생애는 주로 창세기 11장부터 19장에 기록되어 있으며, 그의 이야기는 아브라함과의 관계, 소돔과 고모라의 심판, 그리고 그 이후의 사건으로 나뉩니다. 롯의 생애를 주요 사건 중심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데라, 아브라함, 나홀 후손 1) 아브라함과 함께 한 초기 여정 (창세기 11-13장)롯은 아브라함의 형 하란의 아들로, 하란이 일찍 죽은 후 아브라함과 가까운 관계를..데라, 아브라함, 나홀 후손
데라의 후손 정리데라(Terah)는 성경에서 중요한 족장 가문인 아브라함의 아버지로 등장합니다. 데라는 노아의 아들 셈의 후손으로, 성경의 족보를 통해 하나님의 구속사와 밀접하게 연결된 인물입니다. 데라의 후손을 성경에 근거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데라의 직계 후손데라의 직계 후손은 창세기 11장과 역대상 1장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는 세 아들을 낳았으며, 이들이 각각 한 민족의 조상이 됩니다. 아브람(후에 아브라함)아브람은 데라의 가장 유명한 아들로, 하나님의 언약을 받은 인물입니다.아브람은 사라(이복 여동생)와 결혼하였으며, 두 아들인 이삭과 이스마엘을 통해 후손을 남깁니다.이삭: 하나님의 언약을 계승한 아들로, 야곱(이스라엘)과 에서의 아버지입니다.이스마엘: 아브람과 하갈 사이에서..[하나님의 이름들] 여호와 이레(Jehovah Jireh)
[하나님의 이름들]여호와 이레(Jehovah Jireh) 1. 뜻 여호와 이레 : 뜻은 ‘하나님이 보시다’이다. 대부분의 성경은 '여호와께서 준비하신다'로 번역한다. 그것은 문맥상 숫양을 준비했기에 그렇게 번역한 것이 틀림 없다. 그러나 이레()는 ‘라아’라는 단어에서 왔으며 라아는 ‘보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라아'는 성경에서는 매우 다양하게 번역된다. '보이다' '조언자' '나타나다' '표시' '구별' '얼굴' '관찰하다' '비전' 이레는 '라아'라는 단어이며 '보다'는 뜻이다. BDB 사전은 '라아'가 니팔형으로 사용될 때, '나타나다'의 뜻을 가진다.(창 22:14, 46:29, 삿 13:10) 칼(Qal)형을 때는 '보다'는 뜻이다.(창 20:10, 22:8) 여호와 이레를 통해 우리는 하..창세기 12장 갈대아 우르에서 가나안까지
창세기 12장 창세기 12장은 갈대아 우르에서 소망 없이 살아가던 아브라함의 하나님의 부름을 받고 하란을 거쳐 가나안 땅에 들어가는 이야깁니다. 아브라함은 말씀을 따라 가족들을 데리고 가나안 땅으로 들어갑니다. 기근이 찾아와 잠깐 애굽에 내려간 곤란한 일을 당하지만, 하나님께서 아브라함과 사래를 데리고 다시 가나안으로 돌아갑니다. [창세기 12장 구조] 창세기 12장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뉩니다. 1-9절까지는 갈대아 우르에서 부름을 받고 가나안까지 가는 아브람의 이야기가 소개되고, 10-20절까지는 애굽에서 위기를 그려내고 있습니다. 하나님은 갈대아 우르에서 지내던 아브람을 불러내셔서 새로운 공동체를 형성하길 원하셨습니다. 1. 1-9절 아브람의 소명 ㄱ. 가나안으로 떠나는 아브람 아브람은 갈대아 우르..[성경인물연구] 아브라함 10. 이삭의 출생과 아브라함의 죽음
[성경인물연구] 아브라함 10. 이삭의 출생과 아브라함의 죽음 아브라함과 그랄 왕 아비멜렉 창세기는 롯의 이야기를 마무리하고 다시 아브라함의 이야기도 돌아갑니다. 아브라함은 네게브 땅으로 옮겨 그랄이란 곳에 거주합니다. 그랄은 블레셋의 땅으로 그랄 왕 아비멜렉이 다스리는 곳입니다. 아브라함은 이전에 애굽해서 그랬든 사라를 자신의 누이라 말합니다. 아비멜렉은 사라를 데려갑니다. 아브라함이 사라를 누이라고 한 이유는 여인을 데려갈 때 남편이 있으면 죽이기 때문입니다.(창 20:3, ※12:12) 하나님께서 아베멜렉의 꿈에 나타나 사라를 돌려 보내라고 말합니다. 결국 아비멜렉은 아침에 일어나 기겁을 하고 아브라함을 불러 사라를 돌려보냅니다. 아브라함은 애굽에서처럼 그랄에서도 양과 소와 종들을 아브라함에게 줍니..[성경개론] 구약 역사 2. 족장시대(B.C. 2200?-1847) 아브라함, 이삭, 야곱의 생애
[성경개론] 구약 역사 2. 족장시대(B.C. 2200?-1847)아브라함, 이삭, 야곱의 생애자, 다시 한 번 구약 7시대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지난 번에는 창조에서 바벨탑까지의 창조시대를 살펴봤습니다. 먼저 아래의 구분표를 다시 한번 살펴보고 머릿속에 담아 두시기 바랍니다.구약의 7시대 구분1. 창조시대(B.C. ?-2200?)2. 족장시대(B.C. 2200?-1847)3. 광야시대(B.C. 1446-1400?)4. 사사시대(B.C. 1400-1050)5. 통일왕국시대(B.C. 1050-931)6. 분열왕국시대(B.C. 931-722)7. 포로시대(B.C. 722-420?) 2.1 족장시대(B.C. 2200?-1847) 개요구약의 역사는 단지 구약의 이스라엘 역사를 다루는 것이 아니라 유대교의 경전,..[성경인물연구] 아브라함(9) 롯, 소돔을 떠나다.
[성경인물연구] 아브라함(9) 롯, 소돔을 떠나다. 창세기 18-19장 우리는 롯의 일생을 살펴볼 때마다 안타까운 마음에 안절부절 못합니다. 처음 아브라함을 따라 함께 가나안에 도착했을 때만해도 신실하지는 않았지만 복된 자리에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가 부유해지자 아브라함을 떠나 요단들로 옮겼습니다. 자석이 철을 끄는 것처럼 소돔은 롯을 끌어 당겼습니다. 비롯 롯은 의로웠지만(벧 2:7) 죄를 사랑하는 마음도 강열했던 사람이었습니다. 롯이 소돔으로 빠져 들어갔던 이유는 아브라함으로부터 벗어난 것이 치명적인 이유였습니다. 아마도 롯의 처에 의해 그러한 충동이 더 강열해지지 않았는가 합당한 추측을 해 볼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후에 보면 알겠지만 롯의 아내는 멸망하는 소돔과 고모라를 빠져 나올 때 유혹을 이기..[성경 인물 연구] 아브라함(8) 할례언약
[성경 인물 연구] 아브라함(8) 할례언약창세기 16:11-17장 1) 들나귀 같이 되리라 앞 장에서 하갈의 이야기를 마무리하지 못했습니다. 17장 할례언약을 다루기 전 16장을 먼저 마무리 합니다. 이스마엘이라 하라 사래의 학대를 못 이겨 도망가는 하갈에게 여호와의 사자가 나타납니다. 여호와의 사자는 하갈에게 몇 가지는 말합니다. ㄱ. 사래에게 돌아가 복종하라ㄴ. 아들을 낳으면 이스마엘이라 하라ㄷ. 그는 들나귀 같이 되리라. ㄱ.ㄴ은 앞선 시간에 다루었습니다. 오늘은 마지막 ‘들나귀’를 생각해 봅시다. 들나귀는 집에서 기르지 않는 나귀로 길들여지지 않은 상태를 말합니다. 이스마엘에게 ‘들나귀 같이’(16:12) 되리라고 선언하신 이유는 그가 하나님의 선하신 뜻아래 복족하지 못함을 말합니다. 그는 하나님..[성경 인물 연구] 아브라함(7) 하갈과 이스마엘
[성경 인물 연구] 아브라함(7) 하갈과 이스마엘창세기 16장[그동안 아브라함에 대한 글을 올리지 못했습니다. 인물 자체가 워낙 방대하고 간략하게 다루기가 힘들어서 좀더 세세한 부분까지 알아보려고 했습니다. 요즘 아르바이트를 구해 다니고 있어 시간이 그리 많지 않습니다. 늘 응원해 주시고 기도해 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글은 마음으로 퍼가셔도 됩니다. 다만 저작권에 저에게 있다는 것과 이곳으로 링크를 걸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출산하지 못하는 사래의 제안아브람의 아내 사래를 출산하지 못합니다. 성경에 불임 사건은 중요한 모티브 가운데 하나이며 생명의 주관자이신 하나님을 강조합니다. 하나님으로부터 후손에 대한 약속을 받은 얼마 되지 않은 시기에 사래가 갑자기 아브람에게 하갈과 동침하기를 권면합니..[히브리서] 29. 11:20-22 이삭과 야곱과 요셉의 믿음
29. 11:20-22 이삭과 야곱과 요셉의 믿음 1. 말씀 읽기 20 믿음으로 이삭은 장차 있을 일에 대하여 야곱과 에서에게 축복하였으며 21 믿음으로 야곱은 죽을 때에 요셉의 각 아들에게 축복하고 그 지팡이 머리에 의지하여 경배하였으며 22 믿음으로 요셉은 임종시에 이스라엘 자손들이 떠날 것을 말하고 또 자기 뼈를 위하여 명하였으며 2. 묵상 믿음의 족장인 이삭과 야곱과 요셉을 간략하게 정리하고 넘어갑니다. 그것은 그들의 믿음의 양상이 서로 닮아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대체로 아브라함을 다루면서 다른 믿음의 족장인 이삭과 야곱과 요셉을 같은 범주 안에 집어넣었습니다. 그들은 아브라함과 동일하게 하나님과 언약을 맺었지만 당대에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인내하며 기다려야 합니다. 히브리서 기자는 아브라함과..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