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학용어] 아그라파(Agrapha)

샤마임 2025. 2. 12.
반응형

[신학용어] 아그라파(Agrapha)

 

아그라파는 로마의 군인 마르쿠스 빕사니우스 아그리파가 아니다. 아그라파는 성경에 기록되지 않은 예수의 말씀을 기록한 것이다. 주로 외경에 전해지는 예수의 말씀들이다. 그러나 그것들이 참인지는 알 수 없다. 외경에 기록된 아그라파는 영지주의자들과 같이 이단들이 자신들의 논리를 주장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 것들이다. <토마복음> 등에 기록되어 있다.

성경화 작업이 이루어지면서 교회 안에서 허용되지만 경전으로 인정되지 않은 많은 자료들을 아그라파로 분류한다. 신약외전이라 말로 사용하기도 하지만 흔치 않은 용어다.

 

 

아그라파(Agrapha)란?

아그라파(Agrapha)는 헬라어로 "기록되지 않은 것들"을 의미하며, 신약 성경에 기록되지 않았지만 예수님의 말씀이나 행적으로 전해지는 내용을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문자적으로는 "쓰여지지 않은 것들"이라는 뜻으로, 성경 정경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초기 교회 전통, 외경, 또는 다른 신앙 문헌들에 등장하는 예수님의 가르침들을 말합니다.

특징

정경 외 기록: 신약 성경의 복음서(마태, 마가, 누가, 요한)에 포함되지 않았으나, 교부 문헌, 외경, 또는 전통적인 기록들에 나타나는 예수님의 말씀들입니다.

 

사도행전 20:35: 바울이 에베소 장로들에게 한 연설에서, 예수님의 말씀을 인용하며 "주는 것이 받는 것보다 복이 있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이 말씀은 복음서에 기록되어 있지 않으며, 아그라파에 속합니다.

"주 예수께서 친히 말씀하신 바 주는 것이 받는 것보다 복이 있다 하심을 기억하여야 할지니라"*

 

외경과 교부 문헌: 아그라파는 가끔 외경(예: 도마 복음서)이나 교부들의 저서에서도 발견됩니다. 이러한 기록들은 초기 교회에서 일부 전통적으로 전해 내려왔으나 정경의 권위를 갖지는 않습니다.

아그라파의 중요성

아그라파는 예수님의 가르침과 신앙 전통을 더 깊이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성경의 정경과 동일한 권위를 가지지는 않습니다. 교회 역사에서 아그라파는 초기 기독교 신앙생활과 전통을 연구하는 학자들에게 중요한 자료로 여겨져 왔습니다.

요약하자면, 아그라파는 성경 외부에서 전해지는 예수님의 말씀들로, 정경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신앙적·역사적 연구에서 주목받는 자료들입니다.

정경, 외경, 위경과 연구 도서들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