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 창세기의 우주를 만나다 / 제원호 / 패스오버

샤마임 2019. 10. 10.

과학 창세기의 우주를 만나다

제원호 / 패스오버

 

과학자의 눈으로 바라본 창조와 신앙

 

한때 창조과학에 푹 빠져 지낸 때가 있었습니다. 보수적 신앙을 가진 필자에게 창조과학은 그야말로 보물섬과 같았습니다. 이제야말로 과학을 하나님을 증명할 때가 왔다고 생각했습니다. 창조과학에서 나오는 글들과 관련된 책들을 탐독하면서 곧 모든 사람들이 창조과학 앞에 무릎을 꿇을 것이고 두 손 들고 하나님을 경배할 것이다. 그렇게 십여 년을 보낸 뒤, 창조과학에 뭔가 오류가 있다는 생각을 떨쳐 버릴 수 없었습니다. 더욱이 진화론자들과 무신론 과학자들은 한사코 주님을 경배할 생각이 없어 보였습니다. 뭔가 잘못됐다는 생각에 세포학을 비롯해 매우 기초적인 과학 서적들을 읽어가기 시작했습니다. 아무리 읽어도 도통 이해하기 힘든 단어와 설명들로 가득 차 있었지만 분명한 것 하나는 과학으로 하나님을 증명할 수 없다는 것은 분명해졌습니다. 최근 들어 출간하는 과학과 신앙이 접목된 책들은 의심의 눈초리를 가지고 바라볼 수밖에 없습니다. 창조과학이든지 아니면 무신론자의 기독교 비판 목적으로 쓴 허망한 책들이기 때문입니다. 제원호 교수의 책을 읽을 때도 의심은 여전히 가시지 않았고, 조심스럽게 읽어 나갔습니다. 그리고 마지막 장을 덮었을 때, ‘다행이다’와 ‘멋지다’는 생각이 동시에 들었습니다. 이제 이 책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해 보겠습니다.

 

총 4부로 나누어 주제별로 8개에서 11개의 작은 장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과학자의 관점에서 성경에 기록된 과학적 사실들에 관해 서술하거나 추측합니다. 사실, 성경은 일상의 언어로 기록되었기 때문에 과학의 기준으로 평가하기에는 적지 않은 애로사항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우리가 흔히 말하는 것처럼 해가 동쪽에서 뜬다는 표현도 엄밀하게 말하면 틀린 말입니다. 하지만 틀림은 잘못된 표현이 아니라 사람의 관점에서 볼 때 지구의 자전은 해가 동쪽에서 뜨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그렇게 표현한 것입니다. 또한 과장법과 제유법 등 다양한 문학적 기법들이 성경 서술 방법에 사용되었고, 상징체계가 강하기 때문에 사실이란 개념도 모호할 때가 적지 않습니다. 빛은 하나님이 피조물인 동시에 하나님을 ‘상징’합니다. 성경은 곧바로 ‘하나님은 빛이시다’라고 선언하지만, 엄밀하게 말하면 하나님은 빛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문학적이고 상징적인 표현들은 과학자의 잣대로 성경을 해석하고 분석하는 것을 방해하는 요소들입니다. 저자는 이러한 난제들을 충분히 이해했고, 과학자의 관점에서 성경 해석하기를 게을리하지 않습니다. 시간의 창조를 설명하는 부분에서 알베르토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과 빅뱅 이론을 활용하여 관찰자에 따라 시간의 개념이 달라질 수 있다고 말합니다.

 

“초기 우주의 팽창속도가 오늘날의 우주보다 매우 빨랐다는 것을 앞선 비유에 대입해보면 초기 우주를 빨리 움직이는 기차로, 오늘날의 우주를 기차 밖에 정지해 있는 집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절대적 관찰자의 존재 가능성과 무관하게 초기 우주의 시간은 오늘날 우주(지구)의 시간보다 매우 느리게 흘렀을 것이라는 사실을 우리는 쉽게 이해할 수 있다.”(43쪽)

 

성경의 나이와 우주의 나이를 계산하는 부분에서는 기이할 만큼 흥미로웠습니다. 빅뱅 당시의 온도와 시간의 흐름을 각 창조 날짜별로 시간을 계산했을 때 지구에서는 대략 157년이 흘렀지만, 하나님의 관점에서는 오직 엿새만이 지났다는 것입니다.(47쪽) 물론 이것이 모든 문제를 해결하리라고 생각하지 않음에도 ‘오늘날까지 남아 있는 창조의 흔적들을 통해 우리는 하나님의 엄청난 지혜를’(48쪽) 조금이나마 알 수 있다는 것은 얼마나 큰 행운인지 모릅니다.

 

2부 창조 이야기에서는 창조와 관련된 다양한 과학 상식과 역사를 간략하게 소개합니다. 조금 생뚱맞은 생각인지 모르지만, 과학자의 눈으로 해석한 씨뿌리는 비유는 뜻밖의 소득을 얻었습니다. 돌밭에 뿌려진 씨가 자라지 못하는 이유는 뿌리는 내리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돌은 씨앗아 발화하여 뿌리를 내리지 못하는 완악한 마음의 상태를 말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저자는 이곳에서 ‘싹이 자라는 것은 씨 안에 있는 영양분이 없어질 때까지’(96쪽)라는 표현을 합니다. 저는 이 대목에서 이렇게 상식적인 이야기를 왜 알지 못했는가 의아했고, 저자의 발상에 놀라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싹이 자라는 것은 씨 안에 있는 영양분이 없어질 때까지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움튼 싹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뿌리가 필요하다.”(96쪽)

 

땅의 창조를 이야기하면서 땅에 뿌리 내리지 못하는 씨앗의 이야기를 끌고 온다는 것 자체가 뜻밖이었습니다. 그렇습니다. 씨앗을 그 씨앗 자체적으로 발화할 때 어느 정도 자랄 수 있는 영양분을 가지고 있습니다. 발화하고 뿌리를 내릴 때까지의 여유인 것이죠. 그런데 돌밭은 뿌리를 내릴 수 없기 때문에 땅에 있는 영양분을 섭취할 수 없어 결국 죽게 됩니다. 저자는 뿌리 내림을 기도로 해석하며 하나님의 영적 영양분을 받아야 한다고 말합니다. 이러한 성경 해석은 일반 상식에 그친 일반들에게 뜻밖의 해석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흥미로운 해석들은 적지 않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3부 공간의 창조에서도 인간의 몸의 균형을 이야기하는 부분에서도 밑줄을 그었습니다. 몸의 에너지 불균형은 생리학적인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그로 인해 건강에 이상이 생기게 됩니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세포들이 그것을 기억하고 잘못된 정보나 왜곡에 의해 ‘외적인 질병으로 나타나게 된다’(142쪽)고 말합니다. 수년 전에 읽었던 면역체계 관련 서적에서도 비슷한 이야기를 읽었습니다. 세포들은 자신들만의 방법으로 ‘기억’을 저장한다고 합니다. 면역 세포들의 경우, 처음에는 그 적을 파악하고 분석하는 데 시간이 걸리지만, 후에는 동일한 외부 적(바이러스 등)이 들어오면 적과 아군을 즉각 구분하여 공격 개시하거나 내버려 둔다고 합니다. 그러한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것을 ‘항체’라고 말합니다. 몸의 균형을 위해서는 잘못된 정보를 바로잡아주어야 하는데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을 통해 그것이 가능한 것입니다.

 

과학자의 눈으로 본 창조와 성경 관은 특이하면서도 일반인이 생각하지 못한 뜻밖의 통찰을 가져다줍니다. 아담과 하와의 창조 이야기를 ‘나’와 ‘너’의 문제로 재해석하고 ‘서로’와 ‘함께’ 더 높은 하나님과의 소속감으로 풀어가는 것은 신선했습니다. 성경 신학을 공부하는 필자의 입장에서 볼 때 저자의 해석들은 때로 고개를 갸우뚱하게 만들지만, 어떤 부분에서는 과학자가 아니면 도저히 볼 수 없는 새로운 이해를 가져다줍니다. 또한 과학자임에도 글을 쉽고도 맛나게 쓴다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주고 싶은 책입니다. 필자의 추측이긴 하지만 저자는 아마도 평상시에 성경을 즐겨 읽고 묵상하는 훈련을 쉬지 않은 것 같습니다. 그렇지 않고서야 어떻게 성경 곳곳의 은밀한 사건들과 구절들을 인용할 수 있겠습니까? 모든 부분을 동의할 수 없지만, 저자는 하나님을 사랑하고 과학자의 겸손함을 통해 창조 세계를 탐구하는 부지런한 주의 종이 분명합니다. 모든 이들에게 이 책을 기꺼이 추천합니다. 특히 청년들과 함께 이 책을 나눌 수 있다면 금상첨화라 여겨집니다.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